지방대 육성방안 없는 것인가
 
관리자

대입 수능시험이 며칠 앞으로 닥쳐왔지만 지방대학들은 지금부터 고민이다. 학생수의 고갈 때문이다.

최근 지방대학들은 응시 학생보다 모집정원이 많은 정원 역전 현상 때문에 신입생 유치에 혈안이 돼 있다. 신입생들을 유치하지 못하면 대학의 재정은 물론이고 학교운영이 되지 않아 문을 닫을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이게 돼있어 보통 고민이 아니다.

특히 지방대학들은 최근 경기 침체로 인해 휴학생이 늘어나고 지방 학생들은 졸업 후 취업을 염려해 대부분 수도권의 대학들에 응시하는 현상이 늘어나면서 비상이 걸려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지방대학은 내, 외적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이런 현상을 교육부는 하루 빨리 해소해야 될 책임이 있다. 입시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전문화될 수 있는 교육으로 탈바꿈을 해야 한다. 그리고 지방대학의 육성 방안도 서둘러 마련해야 된다.

지방대학이 살아날 수 있는 방안은 지역 대학들과의 통합도 필요하지만 우선은 지방 대학들이 산업체와 협동하는 방법이다.

지금 지방대학 육성 프로그램 중 산학 협동 프로그램이 있다. 산학 협동 프로그램은 지방대학들과 산업체가 공동으로 연구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그런데 교육부의 미진한 정책 때문인지 아니면 산업체의 무관심인지 모르지만 산학협동 프로그램이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좋은 프로그램을 만들어 놓고도 활용되지 못하는 마당에 딱히 지방대학 육성을 논할 수 없지만 정부와 교육부 그리고 산업체가 조금만 신경 쓴다면 모두 해소될 수 있는 문제다.

입시철을 앞두고 지방대학 총장들이 직접 나서서 일선 고등학교를 방문해 자기 대학을 홍보하는 등 악화된 현실을 바꾸려고 노력하는 중이지만 노력한다고 해서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될 수는 없다. 문제는 근본적이고 원천적인 대책이 없다는데 있다.

지방대학 공동화 현상과 학생수의 감소 추세는 돌이킬 수 없다. 모집 인원보다 들어올 사람이 적어서야 수도권 대학을 선호하는 우리사회 분위기 속에서 지방대학들은 갈수록 정원을 채울 수 없게 되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이미 수년 전에 이런 현상이 생길 것을 예측했음에도 교육 당국이 적극적으로 손을 쓰지 않고 교육의 시장 논리만 떠들어댔으니 무슨 할말이 있겠는가.

참여정부 출범 후 지방대학 육성을 위해 지방의 우수인재 발굴에 관한 프로그램을 개발한다고 하지만 아직 구체안이 나오지 않는 것도 문제다. 하루빨리 서둘러야 한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지방대학 육성을 위한 중장기 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있지만 중요한 것은 지방대학도 스스로의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대학의 특성화와 특성화된 학과 개설 등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실천해 볼 때다. 만약 대학 스스로가 노력하지 않고 자구책을 강구하지 않을 경우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마련할 신 정책으로 인해 소외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방대학들은 신 정책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스스로 준비돼 있어야 한다. 지방대학의 문제는 곧 지방주민, 학생들의 생존문제란 점을 인식하고 교육중심이 아닌 연구중심 대학이 될 수 있는 방안을 하루빨리 찾길 기대해 본다.


기사입력: 2003/11/18 [00:00]  최종편집: ⓒ 호남조은뉴스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