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기사제공 = 언론 무덤파기
문제 해결책, 등록외 간행물로 규정.. 보도ㆍ논평 금지
인터넷신문 뉴스면 비율 50% 이상 의무화
 
서성훈 기자

[e조은뉴스=서성훈 기자] 언론의 포털에 기사제공과 포털의 기사 무료 전재로 언론계 전체가 독자ㆍ광고 감소 등의 영향을 받고 있으나 이러한 위기는 언론 스스로가 자초한 것이나 다름없다. 또한 이러한 위기에 정계, 시민단체는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있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포털 중 최근까지 1위를 달리고 있는 곳은 미디어다음이다. 순위사이트 피앙에 따르면 미디어다음은 지난 7일, 순방문자 447만1천170명으로 이 수치는 지난해 10월 14일 324만5천44명 보다 122만6천126명이나 늘어난 것이다. 이와 같이 포털 뉴스는 빠른 추세로 성장하고 있다.
 
반면 인터넷신문 가운데 최근 방문자수 1위를 달리고 있는 쿠키뉴스는 지난해 10월 14일 5천395명에서 금년 1월 7일 7만644명으로 6만5천249명 늘어나는데 그쳤다. 또한 한국광고주 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인터넷매체별 열독률은 네이버 27.9%, 다음 17.5%, 야후 6.2%, 네이트 2.7%, 조선 1.6%, 조인스 0.9%, KBS 0.9%, 동아 0.8%, 오마이 0.7%로 포털이 전체의 절반 가량 앞서고 있다.
 
특히 신문구독률은 지난 1998년 65%에서 2004년 48%, 2006년 10월 34.8%로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 2006년 인쇄매체의 광고 시장은 2005년 보다 2~3% 마이너스 성장인 1조 6천억원으로 급감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같이 인터넷신문, 종이신문할 것 없이 어려운 상황인데도 불구 여타 유명 일간지와 인터넷신문들은 지속적으로 포털에 기사를 제공하고 있다. 미디어다음에는 지난 8일까지 약 77개 언론사가 기사를 제공하고 있다.
 
포털은 연간 10~ 50억원 정도의 뉴스구입 비용을 지출하지만 이는 언론들의 기사생산비용에 드는 비용에 비하면 매우 작은 수치에 불과하다. 그러나 언론들은 당장 눈앞에 놓인 이익과 포털을 통한 파급력 확대(?) 등에 눈이 멀어 너나할 것 없이 기사를 제공을 했다. 이로 인해 언론은 최근까지 포털에 많은 독자, 광고를 뺏긴 것도 모자라 이슈화하는 파급력 까지 그들에게 내어준 꼴이 됐다.
 
속보 경쟁에 치열하게 이겨 자사와 포털에 동시에 전송하면 인터넷 사용자들은 포털을 접하는 것이 정보 취합에 더욱 용이하기 때문에 모두 포털만 이용한다. 또 속보경쟁에서 승리한 언론사의 이름만 알리는 반짝 효과만 볼뿐 이외에 일부의 전제료를 제외하면 자사에는 아무런 이득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일부에서는 그럼에도 불구 많은 언론들이 기사제공에 나서는 것을 두고 ‘미스테리한 일이 아닐수 없다’라고 비난하고 있다. 포털에 기사제공을 두고 언론사 기자들 사이에서도 말이 많다.
 
모 일간지 기자는 최근 출입처에서 기사를 작성하다 말고 동료 기자에게 “포털에 대한 언론의 기사제공으로 신문이 팔리지 않는 등 지금 위기에 빠져 있다”라며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이에 A기자는 “(신문사가) 자기 머리를 자기가 깎고 앉아 있는데, 뭘..”이라며 한심하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이와 같이 기자들은 포털의 기사제공이 언론사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어찌된 영문인지 언론사 들은 지속적으로 포털에 기사를 주지 못해 경쟁을 하는 듯 보인다.
 
특히 최근 모 정부기관 관계자도 “나도 인터넷으로 기사 본다”라며 “요즘 다 그렇잖아요”라고 말했다. 실제로 여러 정부기관을 출입해 보면 대부분의 공무원들이 포털을 통해 기사를 접하고 있는 것을 자주 목격할 수 있다. 대부분이 바쁜 업무로 인해 책상에 쌓인 신문 보다는 자기가 필요한 정보만 검색해 보고 업무를 마치곤 한다.
 
이러한 상황을 언론사 관계자와 기자들은 잘 알면서도 제대로 공론화 시키지 못하고 문제를 해결해 내지 못하고 있다. 또한, 정부기관 관계자와 정치권, 사회단체 등도 포털이 기사를 저가ㆍ대량 구입후 무료 전재하는 행위로 인한 신문업계의 타격에 따른 현실과 향후 대책에 대해서는 생각 해본 적 없다는 반응이 주를 이루고 있다.
 
본지 기자는 지난 8일 국회 문화관광위원회 소속 의원실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포털의 기사 무료 전제로 인한 신문업계의 타격을 보완할 법안을 마련하는 것이 없느냐라고 물었으나 모두 없다라고 답했다. 이 뿐만 아니라 언론관련 시민단체도 포털의 기사 무료제공에 대한 논의나 토의를 해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부 언론사 대표는 이 문제를 직시하고 포털의 기사제공이 신문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분명히 있다라며 여러 방법을 통해서 해결해야 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인터넷매체인 빅뉴스(http://www.bignews.co.kr) 변희재 대표는 지난 8일 오후 본지 기자가 “포털 기사제공, 기사 무료전재가 신문시장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느냐”라고 질의하자 “당연하다, 신문 구독률에 절대적인 이유”라고 답변했다. 그는 또 “뉴스 소비의 90% 이상이 포털을 통해서 이뤄지고 있다”라며 “이 때문에 인터넷언론의 설자리가 없다”라고 현실을 말했다.
 
변희재 대표는 이어 포털을 규제할 방안에 대해서는 “신문법으로 포털을 규정해서 제재를 가하는 방법, 신문법에서 배제가 됐다면 언론행위를 하면 안 되는데 유사 언론행위를 하기 때문에 등록외 간행물로 규정 시켜 제한하는 것” 등을 제안했다. 변 대표는 또, “등록 외 간행물은 보도와 논평을 못하게 돼 있다”라며 “등록외 간행물로 규정을 해서 현행 신문법으로 문광부가 마음만 먹으면 할수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변희재 대표는 “이승희 의원이 입법하는 인터넷신문의 경우 뉴스면 비율을 50%이상으로 의무화 한다는 것, 이 것만 통과되면 다 해결된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포털이 지금과 같은 뉴스서비스를 하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라고 목소리 높였다.
 
한편 변희재 대표는 ‘모 신문에서는 포털에서 기사를 빼면 죽는다’라는 이런 주장을 하고 있다며 “우리가 신문법을 할려고 하면 모 신문에서 방해를 놓는다, 도대체 이해가 안된다”라고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 
 
빅뉴스 변희재 대표의 주장과 같이 포털로 인한 언론계의 전반적인 불황을 타계하고 언론 자체의 고유한 기능을 예전과 같이 회복하기 위해서는 포털이 기사를 다루는 행위를 법적으로 완벽하게 차단해야 된다. 또한, 언론인들은 이 문제를 직시하고 어떠한 방향설정이 자신들에게 이익이 되는지 잘 파악하고 단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포털로 인해 존폐의 위기에 놓여 있는 언론계, 2007년에는 포털의 유사 언론행위와 언론시장 교란행위를 제대로 차단하고 해결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기사입력: 2007/01/09 [16:05]  최종편집: ⓒ 호남조은뉴스
 
  • 도배방지 이미지